Loading...
2024. 1. 24. 17:39

<위대한 개츠비>에 대한 하나의 독법

가 , 와 동급의 고전이라는 데에 동의할 수 없다. 이 소설에서 건질 것은 미국문학 특유의 시적인 언어 뿐이다. 그것만으로 이 소설이 영문학사의 고전의 반열에 오르는데 부족함이 없다고 주장한다면 할 말은 없지만. 나로선 왜 이 소설이 미국 대학 입시를 위한 필독서로 꼽히는지 만큼은 분명히 알 수 있었다. SAT나 에세이 대비용 ‘모범생 소설’이 꼭 몇 편 있다. ‘적당한 깊이를 갖추고 있으면서도 정치적으로 안전한’ 주제는 인터넷에 검색해서 암기해버리면 그만이고, 중요한 것은 영어 자체가 된다. 이런 소설들은 현지 고등학생이나 유학준비생들에게 고급 어휘와 문장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영어 교재’로서의 의미가 크다. 는 거의 대표적인 ‘모범생 소설’이 아닌가 한다. 따라서 그나마 원서도 아닌 번..

2023. 8. 9. 16:17

왜 <인간실격>에 열광하는가?

민음사 세계문학 전집 시리즈 중 가장 많이 팔리는 책은 헤세의 , 카뮈의 , 그리고 다자이 오사무의 이다(알라딘 기준 1위 , 2위 , 3위 . YES24 기준으로는 1위가 , 2위 , 그리고 은 4위다. 실제로 가장 많이 팔린 책은 샐린저의 이라고 한다). 이나 이 많이 팔리는 것은 어느 정도 납득이 된다. 헤세와 카뮈는 어쨌든 둘 다 노벨 문학상 수상 작가이고, 이나 자체도 이른바 서구식 부르주아 교양주의 정전 목록에 잘 어울리기 때문이다(사실 그래도 의 인기는 좀 이상하다. 헤세 작품 중에서 서구에서 더 많이 읽히는 작품은 나 이고, 헤세에게 노벨상을 안겨준 작품은 대작인 다. 그리고 를 읽어본 사람이라면 헤세를 일반적인 의미의 ‘소설가’라고 할 수 있는지도 의문을 품게 된다(시인에 가깝다). 전쟁..

2023. 6. 20. 19:20

이반 투르게네프, <아버지와 아들>을 읽고

투르게네프의 대표작으로 반드시 거론되는 『아버지와 아들』은 생각보다 지루한 소설이었다. 이렇다 할 ‘사건’도 없고, 도스토예프스키 소설에서처럼 아주 강렬한 인물이 등장하지도 않는다. 이 소설이 재미있었으려면, 도스토예프스키 소설 속 라스꼴리니코프나 이반 카라마조프 같은 강렬한 역할을 주인공인 바자로프가 했어야 하는데, 소설을 읽어보면 바자로프는 다소 희화화되어 묘사되다가 마지막에 허무하게 죽음을 맞이할 뿐이다. 이 소설에서 가장 서정적인 순간은 아들의 죽음을 슬퍼하는 바자로프의 양친을 묘사할 때다. 소설 속에서 ‘아버지(세대)와 아들(세대)’의 ‘영원한 화해’는 죽은 자식의 무덤가 앞에서나 가능했다. 그것이 투르게네프의 정치적 입장을 암시하는 것인가를 두고 당대에도 지식인들 사이에서 일대 논쟁이 벌어졌다..

2022. 1. 12. 02:54

무라카미 하루키, <색채가 없는 다자키 쓰쿠루와 그가 순례를 떠난 해>를 읽고

내가 읽은 하루키 소설은 고등학교 시절에 읽은 과 스물한살 때 읽은 가 전부이다. 그의 대표작인 나 , 는 읽지 못했다. 앞으로도 그의 소설들을 더 읽게 될지는 모르겠다. 내가 느끼는 바로는, 하루키의 작품 자체보다, 대중적으로 그의 작품이 많이 읽히는(팔리는) ‘하루키 현상’을 비평의 대상으로 삼는 것이 보다 진지한 자세이다. 그게 대세라는 암묵적인 분위기가 ‘교양독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그런데 얼마전에 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시리즈에 수록되어 새로 출판되었다. 과 까지는 ‘모던 클래식’의 범주에 든다는 민음사의 판단인 것일까?). 내가 기억하는 것으로만 한정해도, 와 는 출간 당시 국내에서 외국 작가의 장편소설로서는 이례적인 ‘열풍’을 일으켰다. 아마 하루키의 신작 장편소설이 또 ..

2021. 12. 14. 01:12

철부지의 존재론(『그래도 우리의 나날』 (시바타 쇼))

오하시와 세쓰코의 약혼은 체념의 결과였다. 오하시가 단념한 것은 내면의 공허감 자체였다. 그는 공허를 채우기 위해 방탕한 여성편력을 일삼았는데, 상대방 중 한명인 ‘유코’의 자살을 계기로 죄의식에 시달리며 ‘수시로 파트너가 바뀌는 연애를 끊고’ ‘충실한 생활’ 대신 ‘내실 있는 생활’을 구축하기로 한다. ‘충실한 생활’이 내면의 공허감을 마주하고 그것을 무엇으로든 채우는 삶이라면, ‘내실 있는 생활’은 공허감의 존재를 무시한 채 그럴듯한 사회인으로 복무하는 삶을 살아가는 것이다. 세쓰코는 대학교 선배 ‘노세’로 상징되는 혁명적 열정에 대한 단념의 결과 동네 친구였던 오하시를 약혼 상대로 결정한다. 혁명적 열정에 대한 단념의 직접적 계기는 일본 공산당이 무장투쟁 노선을 포기하고 사회민주주의로 전향한 ‘육전..

2021. 12. 14. 01:06

단편들로 모색한 인간 구원의 대서사 (『대성당』 (레이먼드 카버))

카버가 묘사하는 도회의 일상은 ‘더러운 리얼리즘(Dirty realism)’이라는 말이 무색하도록 너절하다. 『대성당』의 단편들은 ‘가정파탄의 현실’로부터 출발한다. 알코올 중독과 이혼이라는 그의 소설 속 ‘상수’는 장엄한 비극이라고 하기엔 지나치게 시시콜콜하고 핍진하다. 인물들은 너절한 일상으로부터의 구원을 갈망하지만, 그들은 아주 사소한 계기로 무너져 버리는 구원의 허약한 구조만을 확인할 뿐이다. 아들에게 선물하려고 했던 손목시계(『칸막이 객실』)는 마이어스의 구원을 지탱하는 마지막 주춧돌이었다. 고인 물(『보존』)이나 집 주인의 퇴거요청(『셰프의 집』), 전화 한 통(『내가 전화를 거는 곳』)만으로도 인물들이 기대하던 구원은 좌절되어버린다. 너절한 일상과 구원의 불가능성, 이것이 카버의 리얼한 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