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2022. 8. 29. 14:56

영국사 연구의 흐름과 쟁점(2)

* 이 글은 『역사학의 역사』(영국사학회, 2020)에 기초하여 작성되었다. * 『역사학의 역사』는 ‘영국사 연구의 흐름과 쟁점’을 정리한 논문 모음집이다. 자잘한 오자들이 다소 아쉽지만 일반 독자 입장에서 접근성이 떨어지는 비교적 최신의 연구까지 망라하고 있어 유용하다. 3) 새로운 관점의 부상: 지성사, 여성사, 지구사, 군사사 - 지성사(intellectual history) 케임브리지 언어 맥락주의 학파의 ‘지성사’는 일반명사가 아니라 고유명사이다 – 이 그룹에 속한 학자들은 고유한 전통과 역사를 가진 사료접근 철학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휘그주의 및 맑스주의 사관의 도식적, 자의적인 정치사상사 이해는 근본적으로 비역사적인 것이며, 과거의 문헌들은 당대의 정치적 논쟁 구도와 그것이 구성하는 언..

2022. 8. 27. 20:27

영국사 연구의 흐름과 쟁점(1)

* 이 글은 『역사학의 역사』(영국사학회, 2020)에 기초하여 작성되었다. * 『역사학의 역사』는 ‘영국사 연구의 흐름과 쟁점’을 정리한 논문 모음집이다. 자잘한 오자들이 다소 아쉽지만 일반 독자 입장에서 접근성이 떨어지는 비교적 최신의 연구까지 망라하고 있어 유용하다. 1) 17-18세기: 잉글랜드 혁명(1642~1651), 명예혁명(1688), 산업혁명(1760~1830)에 대한 연구사 정리 - 잉글랜드 혁명(1642~1651) 찰스 1세와 의회의 충돌이 과열되어 벌어진 의회파와 왕당파 사이의 ‘내전’ 끝에 찰스 1세가 처형당하고 올리버 크롬웰이 ‘호국경(Lord Protector)’에 오르는 일련의 과정을 흔히 “청교도 혁명”이나 “영국혁명”이라고 일컫는다. 그런데 이 과정을 규정하는 어휘들은 특..

2022. 6. 26. 06:40

육영수, <혁명의 배반, 저항의 기억>을 읽고

서양사 전체를 통틀어 가장 결정적인 사건을 하나만 선택해야 한다면 그것은 1789년에 시작된 ‘프랑스 대혁명’일 수밖에 없다. 프랑스 혁명은 서구 세계가 근대로 진입하는 데 있어 분기점이 되는 거대한 사건이었지만, 그 의미를 어떻게 규정할 것인지에 대한 갑론을박의 역사가 길고 복잡했던 만큼 “18세기말에서 19세기초 프랑스”라는 시공간에 대해 섣불리 몇 마디 얹는 것은 만용이다. 중앙대학교 사학과 육영수 교수는 이 책을 통해 친근한 문체로 프랑스 혁명의 ‘이모저모’를 균형 있게 다루며 이 거대하고 육중한 사건에 대한 입문을 돕는다. 로베스피에르로부터 시작해서 1848년 혁명, 파리코뮌, 그리고 러시아 혁명으로 이어지는 ‘혁명의 교리문답’을 구축하는 것이 프랑스 혁명에 대한 ‘정통적인’ 마르크스주의적 해석..

2021. 12. 23. 17:00

[독서메모]『한일 우익 근대사 완전정복』 - 이영채, 한홍구

1) 메이지 유신에서 군국주의까지, 일본 우익의 기원 메이지 유신을 통해 근대화에 성공하는데 까지가 일본 근현대사의 제1막이라면, 이후 내각이 군부에 의해 장악되고 군국주의국가로서 대외팽창에 나서게 되는 것은 제2막이다. 1막의 주요 인물들로 조슈 번 출신의 다카스키 신사쿠, 기도 다카요시, 오무라 마스지로, 사쓰마 번 출신의 사이고 다카모리와 오쿠보 도시미치를 들 수 있다. 내각이 군부에 의해 장악되었던 중요한 제도적 요인은 일본 특유의 현역무관제였다. 보통의 국가들에서 국방부 장관은 민간인이 하도록 되어 있는 것에 반해, 일본은 ‘육군의 아버지’ 야마가타 아리토모가 세운 현역무관제 원칙에 따라 내각의 구성원인 육군 대신과 해군 대신을 현역 군인이 맡도록 되어 있었다. 따라서 군에서 후보를 내지 않으면..

2021. 12. 23. 16:58

[독서메모]『메이지유신을 설계한 사무라이들』 - 박훈

메이지 유신은 의외로 공부하기가 복잡하다. 일본의 ‘근세’ 시기가 워낙 특이하기 때문이다.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세워진 에도 막부는 (당연하지만) 유럽적인 의미의 절대왕정 국가가 아니었다. 봉건제 하의 번(제후국)들은 생각보다 독립성을 강하게 띄고 있었기 때문에, 번끼리도 입장이 상이했다. 거기다 막말기에는 막부 이외에 천황까지 하나의 정치적 행위자로 등장하므로 이 시대의 ‘등장인물’은 아무리 적게 잡아도 넷이다(번1, 번2, 막부, 천황). 동시에 에도 말기는 도시와 상공업이 발달했고, 사무라이들 사이에서 유학 공부가 유행하던 특이한 시기였다. 이 책은 이처럼 복합적인 막말 기 정치서술을 네 명의 사무라이(요시다 쇼인, 사카모토 료마, 사이고 다카모리, 오쿠보 도시미치)의 일대기로 접근하면서 논의의 어..

2021. 12. 23. 16:54

[독서메모]『중국 현대사를 만든 세 가지 사건』 - 백영서

근대 초의 동학농민운동으로부터 시작해서 일제강점기의 3. 1 운동, 개발독재시기의 민주화투쟁으로 이어지는 지난한 서사에 익숙한 한국인에게는 ‘민중’의 개념이 낯설지 않다. 그런데 중국의 근현대사에서는 이런 식의 ‘민중’ 서사가 어색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중국에서는 근현대사의 다양한 국면들 속에서 민중이 유의미한 역할을 할 기회가 없었던 것일까? 혹은, 민중의 유의미한 역할이 분명히 있었음에도, 그것이 보다 심화된 민주적 요구로 이어지지 못한 역사적 맥락이 있었던 것인가? 저자는 ‘근대의 극복과 적응’이라는 이중과제론의 문제의식 속에서 중국현대사에서 ‘民의 자치와 결집’이 모색되었던 세 가지 사건으로서 1919년 5.4 운동,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1989년 천안문 사건에 주목한다. 근대..